티스토리 뷰

1. 객실승무원은 기내에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뿐만 아니라 기내의 상황을 지속해서 확인하고, 기내·갤리·화장실·조종실에 대한 정기 안전 점검을 수행한다. 객실승무원이 휴식 기간을 가져야 하는 장시간의 비행에서는 업무를 수행하는 객실승무원이 필요한 점검을 더욱 효율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2. 승객은 탑승 중 기내에서 객실승무원을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객실승무원이 갤리에 있으면 승무원이 승객에 대해 신경 쓰지 않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고객 서비스 만족도를 낮추게 된다. 팔걸이나 각 좌석 위에 호출 벨이 있지만, 기내에서 승무원을 볼 수 있는 경우에 승객은 벨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객실승무원은 되도록 승객이 벨을 사용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담배를 피는 승객은 때때로 기내에서 담배를 피려고 시도한다. 객실승무원이 누군가가 화장실에서 담배를 피웠다고 의심할 때마다 먼저 담뱃불이 완전히 꺼졌는지 확인하고, 쓰레기통과 주변을 점검하며 연기 감지기가 가려져 있거나 막혀 있지 않은지 확인한다.

 

4. 승객은 비행 중 기내에서 위험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모든 승객이 비행 절차에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때때로 적절하게 행동하지 않으며, 객실승무원은 기술적으로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주의를 시켜야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승객이 바닥에서 잠을 자거나 어린이를 편하게 눕히기 위해 바닥에서 재우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다른 승객이나 승무원이 이러한 승객을 보지 못하고 걸려 넘어져 부상당할 수 있으므로 일반적으로 이러한 행동은 허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은 승객에게 이유를 설명하고 멈출 것을 권고해야 한다. 승객은 객실승무원이 요청한 이유를 이해하면 대부분 지시를 따른다.

5. 갤리는 항상 깔끔하게 유지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는 모든 서비스 품목을 정리한다. 이것은 갑자기 난기류가 발생할 때, 객실승무원의 부상을 예방한다.

6. 객실승무원은 운항승무원을 수시로 확인하고, 음료 또는 음식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항공사는 운항승무원이 잠들거나 아픈 것을 확인하기 위해 객실승무원이 최소한 20분마다 운항승무원을 점검하는 정책을 시행한다. 이 정기 점검은 반드시 객실승무원이 조종실을 방문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간단한 인터폰 통화로 수행할 수 있다. 객실승무원이 음료나 음식을 제공할 때 지켜야 하는 몇 가 지 규칙이 있다.

 

• 조종실 문(Flight Deck Door)은 항상 잠겨 있으므로 객실승무원은 출입시스템을 사용하고, 최대한 빨리 조종석Cockpit에 들어가 문을 닫아야 한다. 손에 쟁반이나 음료수가 있어서 쉬운 일이 아니므로 동료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다.

• 운항승무원이 통신으로 바쁜 경우에는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일반적으로 운항승무원은 객실승무원이 들어올 수 있도록 문의 개방시스템(Opening System)을 사용한다. 운항승무원은 객실승무원이 들어왔다는 것을 알지만 언제나 곧바로 인사할 수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객실승무원은 음료수 또는 음식을 제공하기 전에 조종실 내부에서 인내심을 갖고 기다린다.

• 실수로 음료수를 흘려서 일부 시스템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음료수를 모든 항공기 컨트롤 및 시스템이 있는 센터 콘솔 위로 직접 건네서는 안 된다. 음료를제공할 때에는 조금이라도 흘리지 않도록 항상 트레이를 사용하고, 조종사가 컵을 완전히 들어 올렸는지 확인한 후에 트레이를 치운다.

• 운항승무원의 식사는 한 조종사가 조종을 하고, 다른 조종사는 음식을 먹을 수 있도록 서로 다른 시간에 제공한다. 많은 항공사가 기장과 부기장에게 서로 다른 시간에 다른 음식을 제공하여 식중독이 두 조종사 모두에게 발생할 가능성을 낮춘다.

7. 대부분의 비행에서는 어떤 형태로든 난기류가 발생하며, 기장이 승객에게 앉을 것을 요구할 때마다 객실승무원은 승객들이 좌석 벨트를 착용했는지 확인한다.

8. 모든 서비스가 완료되면 서비스 품목을 올바르게 정리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객실승무원은 항공기 착륙 후에 항공기의 다음 스케줄을 알고 있어야지만, 턴어라운드 중 제시간 안에 다음 비행을 준비하고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항공기가 같은 승무원이 탑승한 상태에서 턴어라운드 하는 경우에 객실승무원은 이륙 후 다음 비행에 필요한 첫 번째 서비스 품목을 준비하고, 동료에게 서비스 품목이 어디에 있는지 알린다. 그러면 더 쉽게 다음 비행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9. 턴어라운드 중에 객실승무원이 교체되는 경우에는 다음 비행업무를 맡은 객실승무원이 서비스 품목을 찾을 수 있도록 지정된 장소에 올바르게 보관한다. 지정된 장소에 보관되지 않은 물품은 케이터링 담당자가 버릴 수 있으므로 낭비를 방지하고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정해진 장소에 보관해야 한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항공기 승객 하기  (0) 2024.06.22
객실승무원 착륙 준비  (0) 2024.06.22
순항 중 객실승무원 기본 업무(크루즈 중)  (0) 2024.06.22
항공기 이륙 준비 완료  (0) 2024.06.22
승객 안전 브리핑  (0) 2024.06.22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