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체크인 키오스크를 제공하는 공항의 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공용 또는 전용 키오스크를 통한 서비스 제공이 보편적이다. 셀프서비스 체크인에 초점을 두는 공항의 승객 수하물 처리가 더욱 쉬워졌다. 다음은 여러 공항에서 승객 및 수하물 처리에 효율성 향상을 가져온 자동화 시스템의 사례이다.
• Type22는 이미 여러 공항에 설치되어 있다. Scan & Fly는 셀프서비스 백 드롭과 관련된 모든 이점을 제공하여, 기존의 공항 인프라를 변경하지 않고도 백 드롭 시간 단축, 승객 만족도 기여, 운영 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 Boon Edam은 셀프보딩 레인(Self-boarding Lanes)을 개발하여 중국 샤먼 국제공항에 설치하였다. 공항 스윙글레인(Airport Swinglane)은 공항 전역의 다양한 셀프서비스 프로세스를 해결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셀프서비스 탑승 및 보안 솔루션이다. 검증된 기술을 기반으로 공항 스윙글레인은 탑승권 판독기, 여권 판독기 또는 생체인식 인증과 같은 다양한 보안 솔루션과 통합될 수 있으며, 승인된 승객만 이용할 수 있는 보안 통로이다. 공항 스윙글레인은 AEA 2009 규정에 따라 설계하였으며, SITA CUTE/CUPPS 플랫폼 인증을 받았다. 공항 스윙글레인의 진보된 센서 시스템은 레인Lane에서 어린이와 수하물을 감지하며, 무단 승객과 정확히 구분한다.

• Access IS는 BPL135C 소형 2D BCBP 및 영수증 인쇄 포트가 있는 NFC 탑승게이트 판독기를 비롯한 여러 신제품을 선보였다. 2D BCBP의 강력한 BGR은 근거리 무선 통신 전화, 태그 및 카드에 대한 비접촉식 기능을 갖추고 있다. BGR135C는 사용이 용이하도록 바코드를 읽으며, 거의 대기시간 없이 승객 처리량을 최적화한다. 전체 페이지 전자 여권 및 2D BCBP 판독기는 자외선 및 적외선 이미지뿐만 아니라 전체 여권 페이지를 컬러로 캡처하여 여권을 빠르고 안정적으로 읽을 수 있다. 동시에 기계판독 가능 영역(MRZ)을 해독하고, 칩에서 홀더 이미지를 포함한 RFID 데이터를 처리한다.

• Kaba는 자동 탑승권 제어와 자동 셀프 탑승을 위한 최첨단 솔루션인 Argus HSB-M03을 제작하였다. 게이트에는 얼굴인식 통합시스템, 탑승권 유효점검용 바코드스캐너, 영수증 발급용 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은 등록 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체크인 및 셀프보딩의 전체 과정을 보여준다. 키오스크와 탑승구에서 승객의 생체검증이 진행되어 탑승이 편리하고 신분 확인이 완벽하게 이루어진다. Kaba는 공항의 접근 제어 솔루션 분야에서 오랜 경험을 갖고 있다. 공항사업의 책임자들과 긴밀히 연락하여, 많은 제품이 공항의 실제 보안 요구에 맞게 개발되고 조정된다. 오늘날 Kaba는 일방 통로, 탑승권 통제 관문, 셀프보드 게이트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승객을 처리를 보장한다.

• DSG는 8개 국가에 100개 이상의 가방 드롭 유닛을 설치했으며, 유럽 내 셀프서비스 백 드롭을 선도하는 업체 중 하나이다. 체크인 통계 및 SBD 상태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여 운영자가 체크인 프로세스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운영자 및 현지 책임자용 태블릿 솔루션을 통해 운영상태를 실시간으로 관찰하고 지원이 필요할 경우 즉각적으로 알린다. 일부 항공사 및 공항은 가정에서 태그를 인쇄할 수 있도록 전환하고 있으며, 제품을 이용하여 완벽하게 지원한다. 이 솔루션은 기존 또는 앞으로 설치할 체크인 카운터에 장착할 수 있다.

• EVIATE는 체크인 수하물을 위한 두 가지 혁신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 eTag는 목적지 바코드를 표시하는 전자수하물 라벨이며, eTrack은 승객과 항공사가 수하물을 추적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 시스템은 전 세계 항공 여행 규정을 준수하고, 정교하며, 특허받은 자동 비행 모드를 특징으로 하는 시장에서 유일한 통합 솔루션이다. eTag와 eTrack은 블루투스를 통해 완벽하게 작업하여 업무를 줄여주고, 체크인 수하물을 가지고 여행하는 과정을 신속하게 한다. 또한, 두 장치 모두 별도로 작동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 IBM은 새로운 엔드투엔드 셀프서비스(End-to-end Self-service) 수하물 접수 솔루션을 개발하였다. IBM 셀프서비스 솔루션의 모든 가능한 기능을 키오스크·모바일·태블릿· 웹 채널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시각 장애인을 위한 솔루션도 개발하였다.
• ALSTEF는 BAGX press 자동 수하물 접수시스템을 Aeroports de Paris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하여 Paris Orly Airport에서 성공적으로 테스트하였다. 셀프서비스 시스템을 통해 승객은 평균 30초 만에 수하물을 접수할 수 있으며, 소형 디자인 덕분에 체크인 구역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 인천국제공항(IIAC)은 유비쿼터스 공항(U-Airport)이라는 개념 하에 최근 몇 년 동안 탑승 절차의 효율성을 높이는 셀프보딩 탑승구를 포함하여 공항에 많은 혁신을 이루었다. 유비쿼터스 공항은 누구나 정보 기술 및 생체인식 기술을 통해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공항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유비쿼터스 공항은 여권과 휴대폰을 기반으로 셀프체크인, 출발게이트를 통한 이동, 출입국 및 탑승과 같은 모든 절차를 완료할 수 있다. 즉, 종이 없이 승객이 이동할 수 있는 공항이다. 승객이 탑승구 앞의 여권 판독기에 여권의 사진 페이지를 제시하면 이름과 여권번호가 항공편의 승객 명단에 있는지 확인한 후에 게이트가 열린다. 높은 수준의 보안을 위해서 얼굴 인식 기술을 추가한 새로운 셀프-탑승게이트를 도입하였다. 그 결과 승객 탑승 시간이 13초로 단축되었다.
'항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NDC(New Distribution Capability) (0) | 2024.07.03 |
---|---|
미래의 출입국관리 (0) | 2024.07.03 |
CUSS(COMMON USE SELF-SERVICE) (0) | 2024.07.03 |
폭발물 위협과 대응 (0) | 2024.07.03 |
항공보안의 필요성 (0) | 2024.07.02 |
- Total
- Today
- Yesterday
- 공항
- 항공지상
- 항공운송
- 항공기
- 갤리
- 항공객실서비스
- 항공보안
- 객실
- 기내업무
- 공항취업
- 인천테크노파크
- 비행기
- 승무원업무
- 지상직
- 항공사취업
- 기내
- 무료교육
- IATA
- 객실승무원
- 항공운항
- 인천무료교육
- 인천
- 비행
- 수하물
- 항공사
- 객실승무원업무
- 운항승무원
- 지상직원
- 항공
- 승무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