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GOM(IATA Ground Operations Manual)을 포함하고 있는 공항 핸들링 매뉴얼은 지상직원이 알아야 하는 또 다른 매뉴얼이다. 이 매뉴얼은 IATA가 제작하며, 항공사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을 위해 계약을 맺은 지상조업사가 사용한다.• 고객핸들링• 램프핸들링• 로드컨트롤과 운영• 화물 및 우편물이 매뉴얼은 산업 표준 및 절차에 대한 지침서로서 PSCRM을 보완하며, 다음과 같은 영역에 대한 명확한 절차를 설명한다.• 고객핸들링• 수하물핸들링• 화물 및 우편물핸들링• 항공기핸들링 및 탑재• 로드컨트롤• 에어사이드 관리와 안전• 항공기 이동 관리• 지상핸들링 계약• 공항핸들링 장비의 명시• 지상핸들링 기관을 위한 환경 명시이 중에서 지상직원과 관련된 중요한 절차는 다음과 같다.• AHM..

지상직원은 공항에서 승객탑승지원, 수하물 서비스 등 고객을 위한 다양한 항공사 업무를 수행한다. 또한, 공항의 수하물 취급(Baggage Handlers), 보안(Security), 출입국(Immigration), 케이터링(Caterers) 관리, 법집행(Law Enforcement) 등을 담당하는 다른 팀과 연계하여 안전하고 효율적인 항공지상 운영에 기여한다. 따라서 지상직원은 공항과 항공사 지상운영 방법 뿐만 아니라 다른 직원(팀)과 어떻게 연계 업무를 수행하는지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지상직원과 상호작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은 다음과 같다.• 승객탑승지원(지상직원의 업무) 직원• 항공기 유지, 보수, 정비 직원• 운항승무원, 객실승무원, 여객 터미널과 사무실 직원 등을 포함한 항공사 직원• 공항..

기장은 항공교통관제의 지시를 받아서 항공기 하강을 시작한다. 비행시간의 길이에 따라서 객실승무원과 승객은 변동 사항을 거의 느낄 수 없을 수 있으며, 하강이 명확하지 않을 수 있다. 주요 징후 중 하나는 기내 기압 변경이 발생하여, 압력이 조정되는 동안 자신의 귀가 “펑”하는 느낌을 받는 것이다.기내 서비스 물품을 모두 정리하여 집어넣고, 착륙을 위해서 기내를 준비하기에 충분한 시간을 갖는 것이 중요하므로 선임객실승무원은 일반적으로 기장에게 예상 도착 시각을 통보 받고, 서비스 타이밍을 조절한다. 장거리 항공편의 마지막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착륙하기 전 약 1시간 30분~2시간 사이에 시작되며, 더 짧은 항공편 서비스는 착륙하기 약 10분 전까지 계속되기도 한다.운항승무원이 하강 신호를 보내면 객실승..

공항 터미널의 출발 구역은 탑승 수속(체크인Check-in) 구역으로 알려져 있다. 이곳은 승객이 예약한 항공사를 찾아 수속하는 지역이다. 대부분의 탑승 수속 구역은 다음과 같이 유사하게 구성되어 있다. • 사람들이 주차장이나 바깥 도로에서 문을 열고 수하물을 가지고 들어갈 수 있는 중앙 홀이나 긴 복도식 홀• 일렬로 길게 배치된 카운터, 건물에 평행하게 또는 수직으로 줄지어 길게 배치된 카운터• 카운터 뒤쪽의 수하물 운반시스템승객은 공항에서 체크인하거나 인터넷을 통해 온라인으로 체크인 할 수 있다. 공항에서 체크인하는 승객은 해당 항공사 카운터를 찾아간다. 체크인 시 승객은 좌석 번호를 배정받고, 기내에 들고 가지 않거나 반입이 허용되지 않는 위탁수하물을 항공사 카운터 직원에게 건네준다. 이때, 승..
- Total
- Today
- Yesterday
- 항공기
- 기내업무
- 항공사
- 공항취업
- 인천무료교육
- 항공지상
- 기내
- 비행
- 무료교육
- 지상직원
- 항공운항
- 비행기
- 인천
- 객실승무원
- 항공객실서비스
- 인천테크노파크
- 객실승무원업무
- 운항승무원
- 승무원업무
- 객실
- 항공사취업
- 지상직
- 갤리
- 항공운송
- 수하물
- 승무원
- 항공
- IATA
- 항공보안
- 공항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