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내에서 발견하는 대부분의 위험물은 객실승무원이 쉽게 관리하여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물품이 다른 것과 섞이지 않도록 하고, 피해를 주지 않을 장소에 따로 보관한다. 물품에 따라 비닐봉지에 싸서 객실승무원이 자주 관찰할 수 있는 곳에 놓는다. 아래 물품들은 기내 운반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으므로 다음 물품을 발견한 경우에는 위험물로 간주한다.• 폭발물 - 불꽃놀이, 조명탄, 장난감 딱총• 산화제 - 일부 표백 • 압축가스 - 가득 또는 일부 채워진 잠수용 호흡기통(캠핑 가스통 포함)• 인화성 액체 및 고체 - 라이터 연료, 성냥, 페인트, 희석제, 난로 불쏘시개• 유기 과산화물 - 일부 고체 과산화수소• 독극물 - 비소, 시안화물(청산가리) 및 잡초 제거제• 자극성 물질 - 최루 가스 장치• 전염성 물질 ..

IATA 위험물 규정 설명서에는 승무원이나 승객의 위험물 운송에 대한 제한 사항이 나타나 있다. 이 제한의 목적은 화물칸, 기내 또는 두 곳 모두에서 운반할 수 있는 위험물의 양을 줄임으로써 위험을 낮추는 것이다.다양한 물품이 9가지 클래스의 위험물로 구분된다.객 실승무원은 가장 많이 휴대하는 위험물 항목과 그 제한 사항에 대해 알아야 하며, 반입이 금지된 품목이 운반되는 것을 막거나 기내에 탑재되는 위험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탑승 체크인 데스크, 온라인 및 보안 점검 구역에 표시되는 모든 경고에도 불구하고 탑승이 허용되지 않는 물건을 승객이 실수로 기내로 가져올 수 있다. 객실승무원은 승객의 기내반입수하물에 위험물이 있을 수 있는 징후를 주의 깊게 관찰하고, 필요한 경우에 제거한다. ..

위험물에 포함되는 품목 중 어떤 물품은 항공기 안전이나 서비스 장비의 일부로 항공기에 실린다. 이는 예외품목으로 알려져 있으며, 객실승무원은 이러한 품목의 위치와 위험성에 대해서 알고 있어야 한다.• 소화기는 압축가스를 포함하고 있다.• 휴대용 산소통에는 압축산소가 포함되어 있다.• 감압 시에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에는 열 생성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화재진압 시 사용되는 휴대용 호흡 장비는 화학물질을 포함하고 열을 발생시킨다.• 컴퓨터 및 기내 엔터테인먼트 장치에는 종종 리튬 배터리가 포함된다.• 항공기 안에서 판매하는 기내판매 용품에는 알코올 및 향수가 포함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는 모두 인화성 액체이다.많은 위험물을 특정 조건이나 제한에 따라서 안전하게 화물이나 기내로 반입할 수 있다...

위험물은 9개 클래스로 분류하여 운송하며, 객실승무원은 위험물을 안전하게 취급하는 방법을 식별하기 위해서 위험물 분류를 자세히 알아야 한다. 위험물로 분류한 품목의 항공기 반입을 반드시 금지하는 것은 아니다. 일부는 기내에 소량을 운송할 수 있으며, 일부는 화물로만 운송할 수 있고, 일부는 항공사만 운송할 수 있는 자격이 있어서 승객이나 화물 회사는 운송할 수 없다. 예를 들어, 스모크 후드나 휴대용 호흡기에는 산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매우 높은 온도로 올라가는 위험한 화학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은 밀폐된 화물칸에서 다른 화물을 발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험할 수 있다. 하지만 항공기 내 화재 발생 시에 사용해야 하므로 항공사만이 운송할 수 있다.위험물 라벨은 일반적으로 다이아몬드 모양이며, 위험을..
- Total
- Today
- Yesterday
- 갤리
- 비행기
- 비행
- 항공
- 수하물
- IATA
- 항공지상
- 승무원
- 항공사
- 항공객실서비스
- 공항취업
- 항공운항
- 인천무료교육
- 항공운송
- 객실
- 인천테크노파크
- 기내
- 항공기
- 승무원업무
- 기내업무
- 객실승무원업무
- 무료교육
- 공항
- 운항승무원
- 항공사취업
- 항공보안
- 객실승무원
- 지상직
- 인천
- 지상직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